본문 바로가기

투자

아바타법 커스터마이징

728x90

 

여러 응용방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확인해봤습니다.

결론적으로 느낀점은 상황에 대한 조치의 문제(?)

또는 특정 상황을 가정하고 가장 좋은 시나리오를 뽑는 문제라 생각됩니다.

투자하는 종목이 최고가를 갱신하는 시점에 수익을 많이 낼 수 있는 아이디어와

중간 단계에 머무르면서 변동이 큰 경우 수익을 많이 낼 수 있는 아이디어,

역사적인 MDD를 모두 커버하기 위한 아이디어 등

아바타법의 큰 틀 안에서 개개인의 세부적인 투자원칙을 수립하고 지키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 대단하고 정답은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세운 나만의 원칙은

역시나 자동 매매를 기본으로 세운 원칙이라서 한계점이 있겠지만,

40티어, DOWN_RT = 1%, UP_RT = 1% 인 것 같습니다.

이렇게 현재 시행중이고 조금의 시간이 지나야 평가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역시나 이런 방법을 제안하고 실천하고 계신 분이 카페에 계셨습니다.

주린이님의 아바타 단타법이 거의 같다고 생각될 정도였습니다.

작지만 확실한 1%의 수익을 내는 것, 그 구간이 촘촘한 것 등

현재 저의 자동 매매 프로그램의 설정이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40티어로 구분되어 있고, 각 티어는 DOWN_RT = 1%, UP_RT = 1%로 설정해서

아래와 같이 매수/매도를 빈번하게 실행합니다.

모든 해답은 결과론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제 설정이 정답은 절대 아닙니다.

그리고 저도 적절한 설정값을 이론적으로 풀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과정을 겪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관련 지식을 이미 고민하고 공유하고 계신 고수님들의 존재를 알고 나니깐,

반대로 적절한 설정값을 이론적으로 풀 수 없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면 현재 설정은 잘 못 된 설정값일까요?

 

스스로 받아드릴 수 있는 설정값을 찾자.

결론은 저도 받아드릴 수 있는 설정값을 찾아가는 중입니다.

'21년 11월 정말 좋았던 미국주식 시장 기준으로 FNGU 종목은 꽤 많이 하락을 했습니다.

이 MDD를 버틸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됐을까요?

저도 기존의 설정값으로는 FNGU 종목은 나랑 전혀 상관없는 주가의 움직임이었습니다.

투자 시드가 정해져있기 때문에 티어를 좁히면 투자가 집중되어 매도 발생 시 수익이 크지만,

티어를 넓히면 투자가 분산되어 매도 발생 시 수익이 작아 집니다.

이런 한계를 여러 투자방법론의 아이디어가 커버하기 위해 확장되고 있지만,

원론적으로 각각의 한계를 가진다고 생각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각각의 경우에 적합한 방법론을 찾는 것도 좋지만,

스스로가 받아드릴 수 있는 방법론을 찾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앞서 설정값을 설명드렸듯이 저는 현재 40티어를 DOWN_RT = 1%, UP_RT = 1% 로 설정했습니다.

1티어 대비 거의 -40% 안에서는 투자를 수행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정말 불행하게도 -40%를 넘어가는 종목이 발생할 수 있지만, 감수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제가 이 설정값을 받아드릴 수 있는지 아직 확신할 수 없지만,

이 과정을 잘 버틴다면 받아드릴 수 있다고 판단 할 수 있지않을까 생각됩니다.

 

다음스텝

언제가 될 지 모르겠지만, 현재의 설정값으로 투자를 유지하고, 유의미한 투자 결과가 나왔다면~

그 결과를 카페에 공개 하는 것이 다음 스텝이 될 것 같습니다.

그 시점의 제 경험의 결과는 여전히 특정 조건의 과거 결과이기에 의미가 떨어지겠지만,

여전히 자동화된 투자를 위한 고민의 과정중에 하나의 결과이므로 스스로 만족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