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기존에 재투자를 위해 설정한 방법은 종목별, 티어별 금액을 누적하는 형태였습니다.
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티어 테이블을 사용했고 매도 발생 시 cnt와 profit 금액을 더해줬습니다.
이렇게 설계했던 목적에는 어떤 티어가 더 많이 사고 팔리는 지 궁금했고 (cnt)
block 금액이 약 1% 씩 증가 할 때 빈도수에 따라
하위 티어여도 금액이 더 커지는 경우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였습니다.
block 금액이 커지다보면 매수 시 수익을 활용하는 상황이 발생할 것이고,
재투자가 목적이었기에 자연스럽게 복리 투자를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매수 금액의 1% 수익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종목을 추가 매수하려면
많은 매도 발생을 통한 수익이 해당 종목의 현재가 만큼 누적되어야 가능했습니다.
좀 더 기다리면 그런 티어도 발생 할 수 있겠지만, 재투자를 위해서 다른 방법을 고민해서 적용해봤습니다.
일명 jackpot 방식인데, 매도로 수익이 발생하면
해당 금액을 자신이 사용하지 않고 누적해놓습니다.
매수가 발생할 때 자신의 block 금액으로 살 수 있는 수량과
block 금액에다가 누적되어 있는 jackpot 금액을 더해서 살 수 있는 수량을 계산합니다.
두 계산 결과 수량이 같다면 jackpot 금액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고,
다르다면 jackpot 금액을 더해서 더 많은 수량을 매수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현재 block 금액도 최적화가 된 상태가 아니므로
계산한 수량에 0.02를 더한 후 현재 주가를 곱해서 매수 총 금액을 다시 계산하고,
매수 총 금액과 계산해서 기존의 block 금액과 jackpot 금액에 반영해줍니다.
jackpot 금액이 부족해서 기존 block으로 매수를 진행하게 될 경우
block 금액을 줄이고 그 만큼 jackpot 금액을 늘리게 됩니다.
반대로 jackpot 금액이 추가 수량을 매수할 수 있는 상황에서는
필요한 만큼 jackpot 금액을 줄이고 block 금액이 늘어나게 됩니다.

이 방식의 장점은 어떤 티어가 매수/매도 되더라도 재투자가 가능한 시점이 되면
해당 매수 티어를 통해 재투자가 빠르게 수행 된다는 점과
매수가 이뤄진 티어는 block 금액도 수량에 맞춰 조정하기 때문에 block의 투자율이 높다는 점입니다. (99% 투자)
당분간은 해당 방법으로 투자를 진행해보고 피드백 하겠습니다.
오늘도 행복하고 즐겁게 하루 보내셔요. ^^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바타법의 매수/매도 구간 및 티어에 대한 고민 (0) | 2022.03.21 |
---|---|
프리장 매매 로직 반영 후기 (0) | 2022.03.05 |
하락이 장기화 될 것 같은데.. 뭘 해야 할까요?! (0) | 2022.01.25 |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는 미국 주식 시장 (0) | 2022.01.22 |
주가 폭락에 대처하는 방법 ?! (1) | 2022.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