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프로그램 자동 매매

복리투자 방법론 수정 기존에 재투자를 위해 설정한 방법은 종목별, 티어별 금액을 누적하는 형태였습니다. 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티어 테이블을 사용했고 매도 발생 시 cnt와 profit 금액을 더해줬습니다. 이렇게 설계했던 목적에는 어떤 티어가 더 많이 사고 팔리는 지 궁금했고 (cnt) block 금액이 약 1% 씩 증가 할 때 빈도수에 따라 하위 티어여도 금액이 더 커지는 경우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였습니다. block 금액이 커지다보면 매수 시 수익을 활용하는 상황이 발생할 것이고, 재투자가 목적이었기에 자연스럽게 복리 투자를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매수 금액의 1% 수익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종목을 추가 매수하려면 많은 매도 발생을 통한 수익이 해당 종목의 현재가 만큼 누적되어야 가능했습니다... 더보기
주가 폭락에 대처하는 방법 ?! 어제 나스닥을 비롯해서 미국 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저는 X3 레버리지를 투자하고 있기에 아침에 결과를 확인하면 푸르딩딩한 숫자들로 인해 심장이 철렁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아무렇지않은 마음을 가진 사람이 있을까요?! (엄청난 고수분들의 심장을 뛰게하는 %는 몇 %인지 궁금합니다. +_+) ​ 그러나 제가 투자한 방법론은 지금까지의 하락에서도 여전히 유효하고 정상 동작하고 있습니다. (오히려 이런 하락 과정 중에도 SOXL, FNGU는 몇 번의 매도가 있었습니다.) 또한 최대 40티어 중 FNGU 종목만 22티어까지 사용중이고, UPRO의 경우 아직 6티어만 사용중입니다. FNGU의 경우 어제의 하락이 2번 정도 더 있으면 40티어가 채워지고 투자에서 멀어지는 상황이 발생 할 텐데, 그런 상황.. 더보기
복리투자 방법에 대한 중간점검 아바타법에서는 기본적으로 티어별 투자금을 설정 후 매수/매도 하기떄문에 매도 시 발생한 실현손익을 재투자하지 않는 단리 투자 입니다. (그럼에도 돈이 복사되는 느낌이 드는 것은 기분탓일까요?!!) 그러나 우리는 좀 더 빠른 자산 증식을 원하기 때문에 실현된 수익도 복리 투자가 되기를 원합니다. 이제는 많은 분들이 아시겠지만 복리의 마법이라는 것은 시간과 꾸준한 플러스 수익률이 전제 조건입니다. 작은 %여도 +%를 꾸준하게 내는 것과 그 반복 횟수를 늘리는 것이 핵심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티어가 명확히 구분되어 있고, 매도 시 수익이 실현되는, 절대 -%를 실현하지 않는 아바타법에 복리 투자 방식이 잘 접목된다면? 잃지않는 복리 투자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그러면 수익을 어떻게 사용해야 .. 더보기
주식투자 적절한 시작 타이밍 ?! 매수 후 나에 대한 깊은 후회 주식투자를 하다보면 "그 때 샀어야 했는데..." 하는 순간도 있고, "사지 말았어야 했는데..." 하는 순간도 있습니다. 주로 어느 순간이 많으신가요?! "샀어야 했는데..."라면 실행력에 대한 자기 반성이 있을 수 있겠고, "사지 말았어야 했는데..."라면 빠른 실행력에 대한 자기 반성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 반대인 상황임에도 모두 다 실행에 대한 후회를 하게된다면 실행하고 안하고의 문제는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주가는 누구도 예측하기 어려운 문제이며 앞으로도 해답을 낼 수 없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주가가 높고 낮았던 과거 시점의 결과를 현재시점에 판단해서 답을 내려고 하는 것은 예언의 영역일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진짜 좋은 매수 시점 없나요?!.. 더보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