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하다고 판단되어 간단한 프로그램을 만들었고 동작을 하고 있습니다. 이 시점에 다시 한 번 왜 프로그램을 만들었는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과거에 그래왔듯이 목적을 잃고 이것 저것 다른 이유로 가득찬 프로그램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 경험을 쌓으니깐 괜찮아.
사실 안괜찮습니다. 경험을 쌓으면서도 삶을 개선하고 필요한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습니다. 스스로 돌아보면 이런 핑게를 생각한 이유가 노력한 시간에 대해 할 말이 없어서 였던 것 같습니다. 분명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데 그렇다고 목적을 더 명확하게 하긴 어렵고, 투자한 시간과 노력은 아까우면 안되기에 붙이는 수식어 같은 느낌입니다. 이제는 그렇지 않아야 겠습니다. - 지금은 시간이 없으니깐 다음에 시간이 좀 여유로울 때 이어서 할꺼야.
거짓말입니다! (제 자신에게 하는 말입니다. ^^;;) 특히 요즘 들어 절실하게 느끼고 있는 점은 무엇인가를 잘 하기 위해서는 그 만큼의 집중력있는 시간을 자원으로 넣어줘야 한다는 것입니다. 순간적으로 우선순위가 높아지는 일이 있을 수 있지만 저렇게 핑게를 댄 이후 다시 꺼내어 프로그래밍을 이어간 적이 거의 없습니다. 즉 안하고 싶은데, 우선순위가 벌써 많이 떨어졌는데 할 말이 없어서 하는 말입니다. 앞서서 목적이 불명확하고 성과를 느끼지 못하기에 흥미가 떨어진 경우에 쉽게 마음을 위로하는 주문 같은 거짓말 같은 겁니다.
요즘은 자기 반성을 많이 하는 것 같은데 미국 주식 시장이 안 좋아서 더 그런 걸 수도 있습니다. 이 기회에 돈은 못 벌고 잃었지만 정신과 마음이라도 수양을 쌓기위해 발버둥치는 것 같으니 불편하시더라도 양해 부탁드립니다. 😂
목적 점검
제목과 같이 "특정 시간"에 "조회 쿼리" 수행한 결과를 "공유"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1-3편 동안 만들고 테스트하고 수정한 것입니다. 그런데 진짜 목적을 고민해봐야 합니다. 이 프로그램을 왜 만들었을까요?! 어떤 결과를 공유 받고 싶어서 만들었습니다. 저는 보통 아래와 같은 경우로 정보를 받고 싶어합니다.
- 어떤 작업의 수행 여부 (yes/no)
RPA가 22시 예정된 작업을 정상적으로 수행했습니다.
목적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것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만약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았다면 후속 조치가 필요합니다. 아래의 에러 발생 원인을 파악해야 할 수 있습니다. - 작업 수행 중 에러 발생 (reason)
RPA가 23시 예정된 작업을 하던 중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element xxx를 찾지 못했습니다.
에러는 내용을 확인하고 빠르게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힝 - 작업 결과 (result)
23:31 SOXL을 $8.5에 10주 매수 했습니다.
만약 내가 의도한 결과가 아니라면 로직 검토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같은 금액에 매수를 여러번 수행하는 경우)
또한 결과를 다양하게 집계/비교하여 구멍 여부를 검토할 수도 있습니다. - 수행한 결과를 통한 사용자 분석 (data)
22.10.03일 SOXL의 가격표 + 매수 + 매도 => SOXL 주가 창에 매수/매도 점 표기한 그래프 생성
분석 과정을 통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하기위한 과정입니다. 어렵습니다.
결과를 받아보는 것으로 끝나는 일도 있지만 보통은 결과를 보고 후속작업을 하기 위한 경우가 많습니다. 즉, 다음 일을 잘 하기 위해서 상황을 파악하거나, 데이터를 축적하거나 하는 등의 사전 작업입니다. 저도 이번에는 현재 로직을 개선하기 위해서 지금 어떻게 돌아가는지 파악하기 위해 해당 프로그램을 계획하게 되었습니다. 결과를 공유 받을 수 있는 도구는 어느정도 준비가 되었습니다. 이제는 다음 일을 잘 하기 위한, 좋은 결과를 뽑아서 해당 프로그램에서 돌리는 일을 잘 해야합니다. 사실 이 작업이 정말 어려운 것 같습니다. 어떤 데이터를 근거로 어떤 의사결정을 해야하는가?와 비슷한 질문이라 생각되고 어떤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서 어떤 데이터가 필요한가?로 정의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저는 아직 저기 먼 미래의 목표를 명확하게 그리지 못하고 있고, 명확하지 않지만 어쨌든 목표로 가기 위해 어떤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 좋을지 잘 모르겠어서, 어떤 데이터를 뽑아야 할 지 정하기가 힘듭니다. 이 영역이 엄청 중요한 것 같은 느낌은 있는데, 아직 감을 못잡겠습니다. 그래서 앞으로는 이 부분에 집중을 해보려 합니다.
'기능과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Storm - vue 디버깅 (0) | 2023.05.09 |
---|---|
23.04.17 ARGOCD 시작 따라하기 (0) | 2023.04.17 |
특정 시간에 조회 쿼리 수행하고 결과를 공유하는 프로그램 (3) (0) | 2022.10.01 |
특정 시간에 조회 쿼리 수행하고 결과를 공유하는 프로그램 (2) (1) | 2022.09.30 |
특정 시간에 조회 쿼리 수행하고 결과를 공유하는 프로그램 (0) | 2022.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