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스케줄링

파이썬으로 내가 만든 로직을 스케줄링하기 - schedule 파이썬으로 나만의 로직을 만들었다면 이제 실행을 해야 합니다. 만드는 과정 중에는 IDE에서 실행하거나 command창에서 실행하면서 로직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확인했을 겁니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본인이 직접 IDE에서 실행, command창에서 실행했다는 겁니다. 이렇게 액션을 취해서 이뤄지는 것을 트리거(Trigger)라고 표현합니다. 트리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트리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트리거(Trigger)는 다음 뜻으로 쓰인다. 기본 의미[편집] 트리거(Trigger)는 총의 방아쇠를 뜻하는 사격용어이다. 트리거(Trigger)는 어느 특정한 동작에 반응해 자동 ko.wikipedia.org 오늘.. 더보기
[Python] 스케줄링 매니저 개요 PC 를 알차게 활용하는 것 까진 좋았는데, 작업이 점점 많아지고, 몇 개의 작업은 실행 순서가 중요하게 되었다. 2021.08.01 - [기능과 기술] - 작업 스케줄러 물론 스케줄러에 한 번 설정하면 그 이후에는 크게 변경할 내용이 없겠지만, 수행을 했는지 알려면 각각의 작업마다 알림하는 기능을 구현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한국 주식시장 마감 이후 결과를 가져오는 기능이 요 몇일 동작하지 않았다. 그러다보니 블로그에 포스팅하는 기능도 당연히 수행되지 못했고, 신경이 쓰이기 시작했다. 검토 UiPath의 오케스트레이션 같이 전체 작업을 관리해주는 기능을 Python으로 만들자. 간단히 생각했을 때, 필요한 Python 기능을 작성하자. Python에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는가? .. 더보기
작업 스케줄러 PC를 24시간 활용하면 참 좋겠지만, 24시간 내내 뭔가를 시킬만한게 없기도 하다. 과거에는 NAS로 만들어서 써보려고도 했으나, 외장하드 같은 느낌이고, 그렇게 활용도가 높지 않았다. 앞서 투자를 결심했고, 이왕하는 것 방법론 대로 매매를 수행할 프로그래밍을 해보기로 했으니, 프로그램이 만들어지면 이를 24시간 배분해서 적절히 잘 시키는 것이 다음 목표가 되겠다. [현재 스케줄링 상태] 한국 주식 프로그램 매매 시작 : 9시 1분 미국 주식 프로그램 매매 시작 : 22시 31분 (서머타임 변경되면 바꿔야 할 듯) 미국 주식 결과 차트 생성 : 익일 6시 10분 미국 주식 결과 포스팅 : 익일 6시 20분 (cmd_kill과 kiwoom_log는 비기능적인 요소라서 제외) 한국 주식 프로그램은 15시 .. 더보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