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서 한국투자증권 API에 대한 내용을 알아봤습니다.
[한국투자증권 api] - 한국투자증권 API 통한 자동 매매 프로그램 만들기 |
[한국투자증권 api] - 한국투자증권 API 개발 레퍼런스 |
왠지 시리즈처럼 되어 가는 느낌이 듭니다. 그런데 이 번에는 주식 자동 매매를 위해서 어떤 개발을 고려했는지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정리 차원에서의 단순 나열이므로 언제든지 수정 될 수 있습니다.) 어떤 증권사로 개발을 하던지, 어떤 매매법을 적용하던지 기본 매커니즘은 유사할 것 같습니다. 이런 기본적인 기능이 잘 동작한 이후 증권사에 특화된 기능을 구현하거나 기능적으로 부족한 부분을 채우는 형태로 진행된다면 좋은 주식 자동 매매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 개발 환경 준비
- 계좌 개설
- HTS, MTS, api 관련 설치
- api 신청
- 모의투자 신청
- 해외증권 거래 신청
- 프로그래밍 언어 선정 - python
- 개발
- 계정
- 로그인 (실전 / 모의)
- 설정값 관리
- (필요시) 토큰 관리
- 기본 기능 구현 (국내 / 해외)
- 계좌 조회
- 예수금
- 잔고
- 기본 조회
- 종목별 - 현재값, 차트 데이터 조회
- 실시간 조회
- 체결가
- 호가
- 체결
- 매매
- 매수/매도
- 정정/취소
- 주문체결
- 미체결
- 리포트 (알림)
- 기간손익
- 메신저 알림
- UI
- 라이브러리 선정 - qt5
- 컴포넌트
- 테이블 (grid)
- 콤보박스
- 라디오버튼
- 버튼
- 기타유틸
- 타임존 - 해외 주식 거래 관련 시간 / 한국 시간 - 서머타임
- 로그
- 정보 저장 - 파일, DB
- 계좌 조회
- 핵심 로직 구현
- 종목 선정
- 모니터링 할 종목 선정 방법
- 매매법
- 분할 매매 여부
- 매매조건
- 매수 / 매도 조건
- 종목 선정
- 계정
- 운영
- 테스트
- 시물레이션 (모의투자)
- 자동화
- PC(또는 서버) 설정
- 기도 / 기원
- 피드백 / 로직 상세 조정
- 테스트
이 과정들을 수행하면 주식 자동 매매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운영할 수 있게 됩니다. 때로는 생략되는 항목이 생기기도 하고 집중 개발해야하는 항목이 생기기도 할 테지만 이 테두리 안에서 이뤄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중요한 것은 주식이라는 투자 방법을 선택했고 제 1 목표는 수익을 내는 것이어야 합니다. (자동 매매가 목표가 되지 않도록 해야겠습니다. 자동 매매는 수단일 뿐입니다.) 제가 선택한 매매법도 최근에는 수익을 내고 있지만 결과만 보면 22년은 정말 암울했습니다. 그럼에도 선택한 방법론이기에 그냥 돌리는 것이죠. 또한 최근에는 원금 회복을 넘어서 수익을 내고 있지만 그래도 정말 행복한 일은 아닙니다. 그냥 그래야 합니다. 그래서 운영 단계에 들어가면 기도 / 기원이 수익을 낼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도 있지만 내 마음이 "일희일비" 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 더 큽니다. 여러분들도 단단한 마음으로 투자를 계속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한국투자증권 a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투자증권 API - 개발 시행착오에 대한 기록 (0) | 2024.03.20 |
---|---|
한국투자증권 API 개발 시 어려웠던 점 (1) | 2024.03.18 |
한국투자증권 API 개발 레퍼런스 (2) | 2024.03.17 |
한국투자증권 API 통한 자동 매매 프로그램 만들기 (19) | 2024.03.17 |